'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812건

리눅스 백업 방법에는 tar로 압축백업하는 방법도 있고 디스크를 통째로 복사하는 방법, 데이터베이스 및 웹페이지 데이터만 백업 등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에 디스크 전체를 백업하는 방식인 dd 명령어로 백업 및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대부분의 가상서버호스팅은 여유의 하드가 따로 없는데 없다면 Backup storage 를 활용하거나

NAS 시스템의 webdav 를 마운트하여 백업을 할 수 있다.


리눅스 디스크 백업은 파티션 테이블과 파티션 파일을 따로 백업할 수도 있고 통째로 할 수도 있다.


우선 서버에서 어떤 파티션을 백업해야 하는지 알아야된다.




▶ 백업 파티션 확인하기

# df -l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mapper/centos-root   48G  1.6G   46G   4% /

devtmpfs                 487M     0  487M   0% /dev

tmpfs                    497M     0  497M   0% /dev/shm

tmpfs                    497M   13M  484M   3% /run

tmpfs                    497M     0  497M   0% /sys/fs/cgroup

/dev/vda1                497M  218M  279M  44% /boot

tmpfs                    100M     0  100M   0% /run/user/0


# fdisk -l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vda1   *        2048     1026047      512000   83  Linux

/dev/vda2         1026048   104857599    51915776   8e  Linux LVM


백업해야될 파티션이 /dev/vda1 과 /dev/vda2 임을 알 수가 있다.





▶ 디스크 통째로 백업하기

# dd if=/dev/vda of=/dev/vdb bs=512K

/dev/vdb 가 있는 경우다.

nas 활용시 : dd if=/dev/vda of=/mnt/nas/vda.bin bs=512K




▶ 디스크 통째로 복구하기

# dd if=/dev/vdb of=/dev/vda bs=512K

백업할 때의 if 와 of 인자 위치만 바뀌었다.

nas 활용시 : dd if=/mnt/nas/vda.bin of=/dev/vda bs=512K





▶ 파티션 테이블(MBR) 백업

# dd if=/dev/vda of=/mnt/nas/vda.mbr bs=512 count=1

dd 명령어로 MBR을 백업하는 방법이다.

sfdisk 명령으로는 : sfdisk -d /dev/vda > /mnt/nas/vda.mbr


▶ 파티션 파일 백업

# dd if=/dev/vda1 of=/mnt/nas/vda1.bin bs=1K

# dd if=/dev/vda2 of=/mnt/nas/vda2.bin bs=1K


# dd if=/dev/vda1 bs=512K | gzip -c > /mnt/nas/vda1.bin.gz

# dd if=/dev/vda2 bs=512K | gzip -c > /mnt/nas/vda2.bin.gz

위쪽은 압축 안하고 그대로 복사하는 방법이고 아랫쪽은 압축하여 백업하는 방법이다.




▶ 파티션 테이블(MBR) 복구

# dd if=/mnt/nas/vda.mbr of=/dev/vda bs=512 count=1

sfdisk 명령으로는 : sfdisk /dev/vda < /mnt/nas/vda.mbr


▶ 파티션 파일 복구

# dd if=/mnt/nas/vda1.bin of=/dev/vda1 bs=512K

# dd if=/mnt/nas/vda2.bin of=/dev/vda2 bs=512K


# gzip -cd /mnt/nas/vda1.bin.gz | dd of=/dev/vda1 bs=512K

# gzip -cd /mnt/nas/vda2.bin.gz | dd of=/dev/vda2 bs=512K

위쪽은 그대로 복사하여 복구하는 방법이고 아랫쪽은 압축된 백업본을 압축해제 하고 복구하는 방법이다.




위의 방법 중 편한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블로그 이미지

영은파더♥

가상서버호스팅 VPS 리눅스 서버관리 윈도우 IT

,

티스토리 블로그를 개설하면 주소가 1차주소.tistory.com 형태이다.


자신이 소유한 도메인이 있다면 2차주소에 연결을 할 수가 있다.


가급적이면 블로그 개통을 하고 바로 2차주소에 연결을 한 다음에 블로그를 운영하는게 좋다.


1차주소로 운영을 하다가 2차주소를 연결하게 되면 검색봇이 유사문서로 판단하여 검색노출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저품질 블로그로 빠지면 헤어나오기가 여간 쉬운게 아니다.


그래서 2차주소를 운영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바로 실행에 옮기기를 권한다.



도메인업체의 레코드 관리에서 blog 호스트를 110.45.229.135 아이피로 입력하고 설정을 한 다음에


티스토리 -> 기본관리 -> 주소설정 -> 2차주소에 blog.도메인명을 적고 저장하면 된다.


티스토리 블로그 2차주소 도메인 연결티스토리 블로그 2차주소 도메인 연결


도메인 레코드 관리는 도메인업체 마다 다르지만 레코드 관리라는 메뉴를 잘 찾아서 호스트명에 원하는 이름을 정하고


A레코드 타입을 선택, 목적지 IP에 110.45.229.135 아이피를 입력하고 등록 하면 된다.


새롭게 등록하는 A레코드는 등록 즉시 거의 바로 적용되므로 브라우저에서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블로그 이미지

영은파더♥

가상서버호스팅 VPS 리눅스 서버관리 윈도우 IT

,